• 자료실
  • 논문자료
  • 논문통합 검색

논문 통합검색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의 회복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 중인 성소수자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서면조사와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Krueger와 Casey(2015)가 제안한 지속적인 비교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의 회복에 도움이 된 요인은 ‘신과의 만남’, ‘내면화된 LGBT 혐오 극복’, ‘다른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를 돕는 마음’, ‘함께 회복 중인 동료 성소수자의지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인 나를 지지해 주는 가족’, ‘성소수자 SNS 커뮤니티 및인터넷 사이트 유혹 차단’, ‘성소수자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 ‘성정체성을 오픈할 수 있는 치료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교단체의 성소수자에 대한 포용성 강화, 내면화된 LGBT 혐오 극복을 위한 치료, LGBT 동료 회복자 지지체계 구축,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의 가족에 대한 교육, 성소수자 온라인 커뮤니티 모니터링, 중독재활 전문가 대상 성소수자 이해 교육, 성정체성을 오픈할수 있는 치료 공간 제공 같은 몇 가지 실천 및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mong youth aging out of car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grit. Data of 214 youth who had aged out of care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he findings reveale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nega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whereas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mpact. Moreover, grit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intervention strat egies to enhance self-reliance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among youth transitioning from c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페이지 : 35-63
    * DOI : http://dx.doi.org/10.22836/kaswpr.2025.16.2.35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의 회복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 중인 성소수자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서면조사와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Krueger와 Casey(2015)가 제안한 지속적인 비교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의 회복에 도움이 된 요인은 ‘신과의 만남’, ‘내면화된 LGBT 혐오 극복’, ‘다른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를 돕는 마음’, ‘함께 회복 중인 동료 성소수자의지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인 나를 지지해 주는 가족’, ‘성소수자 SNS 커뮤니티 및인터넷 사이트 유혹 차단’, ‘성소수자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 ‘성정체성을 오픈할 수 있는 치료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교단체의 성소수자에 대한 포용성 강화, 내면화된 LGBT 혐오 극복을 위한 치료, LGBT 동료 회복자 지지체계 구축,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의 가족에 대한 교육, 성소수자 온라인 커뮤니티 모니터링, 중독재활 전문가 대상 성소수자 이해 교육, 성정체성을 오픈할수 있는 치료 공간 제공 같은 몇 가지 실천 및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This study explored how the lived experiences of personal assistants supporting individuals with severe muscular disabilities shaped their transformation into social movement advocates. Emplo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assistants who continuously supported an activist from the Right to Life Protection Solidarity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23. The analysis revealed 34 meaning units, 12 themes, and five essential themes: the social significance of existence, impactful first encounters, identity confusion, guidance toward hope, and striving for coexistence.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while restoring dignity and rightful support in discriminatory contexts, rediscovered their social value, pursue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evolved into advocates confronting inequality. The study offer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omoting support systems and addressing the needs of both assistants and care recipi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페이지 : 65-98
    * DOI : http://dx.doi.org/10.22836/kaswpr.2025.16.2.65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의 회복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약류 중독에서 회복 중인 성소수자 7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서면조사와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Krueger와 Casey(2015)가 제안한 지속적인 비교 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들의 회복에 도움이 된 요인은 ‘신과의 만남’, ‘내면화된 LGBT 혐오 극복’, ‘다른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를 돕는 마음’, ‘함께 회복 중인 동료 성소수자의지지’,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인 나를 지지해 주는 가족’, ‘성소수자 SNS 커뮤니티 및인터넷 사이트 유혹 차단’, ‘성소수자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 ‘성정체성을 오픈할 수 있는 치료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교단체의 성소수자에 대한 포용성 강화, 내면화된 LGBT 혐오 극복을 위한 치료, LGBT 동료 회복자 지지체계 구축, 마약류 중독 성소수자의 가족에 대한 교육, 성소수자 온라인 커뮤니티 모니터링, 중독재활 전문가 대상 성소수자 이해 교육, 성정체성을 오픈할수 있는 치료 공간 제공 같은 몇 가지 실천 및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habilitation factors of LGBT people addicted to drugs. Participants included seven LGBT people recuperating from drug addiction. Data were collected via written reports and group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 continued comparison method proposed by Krueger and Casey (2015). Factors facilitating the recovery of drugaddicted LGBT people included: “connecting with God,” “overcoming internalized LGBT stigma,” “helping other drug-addicted LGBT people,” “backing of fellow LGBT people recovering together,” “family that supports me, who is drug-addicted LGBT,” “precluding the temptation of LGBT communities and internet areas,” “experts who understand LGBT people,” and “treatment spaces that can open up their sexual identity.”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offered 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such as, fostering religious societies’ inclusiveness toward the LGBT community, suggestions to mitigate interiorized anti-LGBT sentiments, establishing support systems for LGBT counterparts, education for families of sexual minorities addicted to drugs, observing the online community of LGBT people, providing LGBT-related education to addiction rehabilitation specialists, and providing a treatment space where individuals could open up regarding gender identi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페이지 : 135-166
    * DOI : http://dx.doi.org/10.22836/kaswpr.2025.16.2.13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연령, 담당학급연령, 공감능력과 사회적지지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위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비확률추출법에 의한 편의표집을 이용하여 영유아 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영유아 교사 295명을 대상으로 2024년 9월 16일부터 10월 4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3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교사의 공감능력 및 사회적지지,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수준은 평균 이상으로 높은 수준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과 교사의 연령, 담당학급연령, 공감능력, 사회적지지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평가적지지와 정보적지지, 교사의 연령, 인지적 공감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하위요인인 하루일과 존중에는 정보적지지, 교사의 연령,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그리고 또 다른 하위요인인 아동 최선의 이익에는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 그리고 인지적 공감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양질의 돌봄과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영유아 교사의 공감능력과 사회적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지원 방향을 재고하며 영유아 권리존중 실행의 기초를 확립하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age, class-age, empathy, and social suppor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by applying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6 to October 4, 2024, targeting 295 teachers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31.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and social support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s well as the level of their practice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e moderate level of the scale. Seco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nd demographic factors, empathy, and social support.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demographic factors, empathy, and social suppor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showed that evaluative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and teacher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and cognitive empathy, were most significant, respectively. Moreover, it was shown that informational support, teachers' age,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significantly affect the subfactor of respecting daily routines in the practice for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while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cognitive empathy significantly affect the subfactor of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at to ensure quality care an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t is important to reevaluate support strategies aimed at enhancing teachers' empathy and social support, thereby establishing a solid foundation for the practice of the rights of young children.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87-11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유아생활지도와 부모상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관한 목소리를 담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의 요구와 기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교사 총 6명이 본 연구를 위해 참여하였고, 2025년 1월 3일부터 2월 23일까지 이들을 개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생활지도와 부모상담에 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으로는 첫째, 유아의 발달 및 행동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 둘째, 부모와의 양육관 차이 및 소통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셋째, 교사의 역량 부족 및 정서적 소진 등으로 인한 어려움, 넷째, 교원양성과정 및 유아교육현장의 시스템 미흡으로 인한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유아생활지도와 부모상담에 관한 유아교사의 요구와 기대로는 첫째, 교원양성과정의 교육과정 재설계 및 적용 필요, 둘째, 현장 밀착형 자료 및 체계적인 시스템의 지원 필요, 셋째, 교사를 위한 정서적 지원과 팀 기반의 협력적 환경조성의 요구, 넷째, 부모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의 기대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생활지도 및 부모상담과 관련한 유아교사의 어려움과 그 해결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o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rning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child guidance and parent counseling, as well as to examine their perceived needs and expectations. A total of six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January 3 and February 23, 2025.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in categories of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1) challenges related to children's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2) challenge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parenting styles and communication gaps with parents, 3) difficulties stemming from teachers’ own lack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4) systemic shortcoming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Regarding their needs and expectations, the findings highlighted: 1) the necessity of redesigning and implementing improved teacher training curricula, 2) the need for context-sensitive resources and systematic support mechanisms, 3) a demand for emotional support for teachers and the creation of team-based collaborative environments, and 4) expectations for stronger institutional frameworks to impro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dressing the challenges fa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uiding children and counseling paren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239-26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의 목적은 존 버닝햄 그림책에 나타난 어린이를 존재론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린이의 내면세계와 감정이 생동감 있게 표현된 존 버닝햄 그림책 중『지각대장 존』,『구름 나라』,『비밀 파티』,『우리 집 생쥐네 집』네 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선정된 존 버닝햄 그림책을 분석하기 위해 그림책 내용을 극화 코딩하고, 각 그림책에 나타난 어린이의 특징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어린이가 어떤 존재인지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존 버닝햄의 그림책에 나타난 어린이는 권위와 억압으로부터 자유를 추구하는 존재, 모험과 도전을 즐기면서도 안정을 갈망하는 존재, 약속과 책임을 통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성장해 나가는 존재,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려는 존재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ild portrayed in John Burningham's picture books from an ontological perspective. To fulfill this objective, four of Burningham's picture books,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Cloudland,' 'It's A Secret!,' and 'Mouse House' were selected for their vivid depictions of children's inner worlds and emotions. To analyze the selected picture books by John Burningham, the content of each book was dramatized and coded, and the themes related to the existence of children presented in the book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children depicted in John Burningham’s picture books are: beings who seek freedom from authority and oppression, beings who enjoy adventure and challenge while yearning for a sense of stability, beings who grow within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promises and responsibilities, beings who acknowledge and respect differences, and strive to live together.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 페이지 : 55-85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스마트경로당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의 디지털 태도와 건강상태가 삶의 질과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삶의 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이들 변수 간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천시 스마트경로당 사업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노인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CASP-19 삶의 질 척도, 디지털 태도 척도, KoHSME V1.0 건강상태 평가도구, 사회복지시설용 이용자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83.24세였으며, 91.63%가 주 3회 이상 정기적으로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디지털 태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직접효과(β=0.417, p<.001)와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직접효과(β=0.367,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삶의 질이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β=0.692(p<.001)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태도가 삶의 질을 매개로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β= 0.288, p<.001)와 건강상태가 삶의 질을 매개로 참여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β=0.268, p<.001)가 모두 유의하였다. 디지털 태도와 건강상태는 삶의 질을 완전매개로 하여 참여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스마트경로당이 노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와 건강증진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프로그램 참여만족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노인복지 모델임을 입증한다.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노인복지 정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Despite the rapid aging of Korean society and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attitudes, health status, quality of lif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smart senior center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effects of digital attitudes and health status on quality of lif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mong elderly participants in smart senior center program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75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smart senior center programs in Bucheon City. The measurement instruments included the CASP-19 quality of life scale, digital attitude scale, KoHSME V1.0 health status assessment tool, and user satisfaction scale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was 83.24 years, and 91.63% participated regularly three or more times per week.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f digital attitudes on quality of life (β=0.417, p<.001) and health status on quality of life (β=0.367, p<.001). The direct effect of quality of lif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was strongest (β=0.692, p<.001). Both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digital attitude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mediated by quality of life (β=0.288, p<.001) and health statu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mediated by quality of life (β=0.268, p<.00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which digital attitudes and health status affect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rough the complete mediation of quality of life was confirmed. This demonstrates that smart senior centers are an effective elderly welfare model that enhances digital capabilities and health promotion among the elderly, thereby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ultimately increasing program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elderly welfare policies in response to a super-aged society.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91-80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논문은 건강의 다차원성을 반영하여 노인의 건강 불평등 양상을 파악하고, 생애과정 관점을 적용하여 현재의 건강 격차를 유발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노년기의 이질성을 반영하여 노인 집단을 전·후기로 세분화하여 연령집단 간 건강 불평등 차이를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그 결과, 동일 연령집단이라 할지라도 건강 수준의 이질적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급격히 건강이 악화되는 집단의 경우 사회경제적 취약성 및 지역의 의료 접근 취약성이 두드러졌다. 더욱이 이같은 결과는 후기노인에게서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련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건강 수준의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flect the multidimensionality of health and to examine health inequalities in later life within the life course perspective, in the aims of identifying the underlying factors contributing to current health inequalities among older adults. Recognizing the heterogeneity of older adults, the study stratifies the older population into young-old and old-old groups to more preceisely analyze health disparities across different age groups. The findings reveal distinct patterns of health trajectories even within the same age group. In particular, groups experiencing rapid health deterioration were more likely to exhibit socioeconomic vulnerabilites and limited access to healthcare services in their residential areas. These disparities were further exacerbated among the old-old popul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policy recommendations to address and alleviate health inequalities among older ad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61-790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급격한 인구 고령화와 함께 치매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노년을 앞둔 중년기 성인들에게 치매 발병에 대한 불안을 야기하고 과도한 치매 불안은 생활 습관과 건강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가족력에 따른 중년 여성의 치매 불안 관련 요인을 규명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대상자는 40-60세 중년 여성 총 388명이었다. 본 연구자료는 STATA/MP ver. 17.0을 이용하여 빈도와 평균, 독립표본 t 검정, 검정, Fisher’s exact test, Pearson’s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 가족력이 치매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치매 가족력이 있는 그룹의 치매 불안은 치매 가족력이 없는 그룹보다 치매 불안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치매 가족력이 있는 그룹에서는 종교, 직업, 주관적 기억감퇴, 우울이 치매 불안과 관련 있는 반면, 치매 가족력이 없는 그룹에서는 교육 수준, 치매 지식, 자녀 수,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기억감퇴가 치매 불안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노년을 앞둔 치매 가족력이 있는 중년 여성들에게 적극적인 치매 예방 교육과 함께 치매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으며, 국가 치매 관리 정책에 치매 가족에 대한 집중관리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factors related to dementia anxiety in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family history of dementia.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388 middle-aged women aged 40-6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MP ver. 17.0. As a result of the study, family history of dementia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dementia anxiety, and dementia anxiety in the group with a family history of dementi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group without a family history of dementia, and religion, occupatio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depression were related to dementia anxiety in the group with a family history of dementia, while education level, dementia knowledge, number of childre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were associated with dementia anxiety in the group without a family history of dementia.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43-759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노년층이 경험하는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의 변화가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13차-18차, 2018-2023년)의 65세 이상 노인 2,06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GM)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GM 분석 결과 경제적, 주거, 사회활동 배제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해당 배제 영역 변화에는 개인 간 차이가 존재하였다. 반면 사회관계 배제와 자아존중감은 초기 수준에서만 개인차가 나타났다. 둘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에서는 경제적, 건강, 사회활동 배제의 초기 수준과 변화율이 자아존중감의 초기 수준 및 변화 궤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에 통제변수를 투입한 결과, 노인의 연령, 교육수준, 근로여부가 자아존중감 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삶에서 사회적 배제가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심리사회적 자원의 약화를 방지하고 노년기 삶의 질과 사회통합을 증진하기 위한 복지정책의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changes in social exclusion shape the trajectories of self-esteem among older adults.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13th-18th waves, 2018-2023), we analyzed a sample of 2,061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latent growth modeling (LGM), and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GM analysis revealed that economic, housing, and social participation exclusion tended to increase over time, with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growth trajectories. In contrast, social relationship exclusion and self-esteem showed individual variability only at the initial level. Second, Multivariate LGM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initial levels and slope of economic, health, and social participation exclu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itial levels and slopes of self-esteem. Third, after including control variables i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ge, educational attainment, and employment statu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itial level of self-esteem.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guide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welfare policies aimed at reducing social exclusion and strengthen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integration among older adult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685-70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신뢰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만 65세 이상 75세 미만 연소노인 5,710명과 만 75세 이상 만 84세 미만 고령노인 3,44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다집단 경로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연소노인 집단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사회신뢰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고령노인 집단에서는 이러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연소노인 집단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사회적 고립을 완화하고, 사회신뢰 형성을 통해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노인 내 연령집단을 구분하여 디지털 리터러시가 사회신뢰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니며, 연령대별 디지털 활용 격차와 사회신뢰 형성 조건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old and old old adults. Us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a total of 5,710 young old adults aged 65-74 and 3,442 old old adults aged 75-84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Multi-group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young old group, digital literacy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trust. However, this mediating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old old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mong young old adults, digital literacy may contribute to enhancing life satisfaction by alleviating social isolation and promoting the formation of social trust.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social trust across different age groups among older adults. It also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tailored policies and programs that consider age-specific disparities in digital engagement and the conditions for fostering social trust.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27-741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중복합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 PubMed, Embase, SCOPUS, MEDLINE를 활용하여 연구를 검색하고, PRISMA 2020 가이드라인에 따라 문헌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12편의 논문이 분석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문헌의 질 평가는 PEDro 척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선정된 논문들은 인지, 신체, 일상생활동작, 사회적 활동 중 최소 두 가지 이상의 영역을 통합한 다중복합 중재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중재는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 신체 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 삶의 질, 행동심리증상 완화 등 다양한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를 기반으로 다중복합 비약물적 중재의 구성 요소, 적용 방식, 평가 방법 및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치매 환자를 위한 다중복합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임상 적용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the effects of multicomponent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Studies were retrieved from Web of Science, PubMed, Embase, SCOPUS, and MEDLINE, following the PRISMA 2020 guidelines. Twelve studies were included, and their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ed using the PEDro scale. The selected interventions integrated at least two domains among cognition, physical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ocial engagement. Positive effects were found across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daily activities,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omponents, application methods, evaluation strategies, and outcomes of multicomponent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foundational evidence for developing and applying future intervention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709-726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8차부터 18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 빈곤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빈곤은 소득과 자산을 중심으로 측정하였고 소득빈곤은 중위소득 50% 이하로 측정하였고, 자산빈곤은 절대적 자산빈곤과 상대적 자산빈곤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총체적 만족도와 각 세부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소득빈곤과 자산빈곤이 총체적 삶의 만족도와 세부 영역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절대적 자산빈곤은 가족의 수입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총체적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과 달리 상대적 자산빈곤은 가족의 수입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총체적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빈곤은 가족의 수입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총체적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의 소득빈곤과 자산빈곤이 다차원적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다양한 정책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poverty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using data from the KoWEPS in the 8th to 18th Surveys. Poverty was measured based on income and assets. Income poverty was measured as having an income below 50% of the median income. Asset poverty was analyzed by absoulte asset poverty and relative asset poverty. Life Sastisfaction included overall satisfaction and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income poverty and asset poverty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and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bsolute asset poverty had an negative impact on family income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Relative asset poverty had an negative impact on family income satisfaction,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Income poverty had an negative impact on family income satisfaction,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ocial ties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total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income poverty and asset poverty of older adults on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se fiinding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policy implic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노년학회
    * 페이지 : 663-683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령 발달장애인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본 부모와 종사자가 인식하는 발달장애인의 성공적 노화의 의미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세 이상의 고령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장애와 나이듦의 경계에서 고유한 노화의 지각’, ‘변화에 맞서 노화속도를 늦추는 자기관리’, ‘익숙함을 기반으로 유연하게 삶을 이끌어 가는 힘’, ‘불안한 내일을 덜어내는 지속 가능한 삶의 설계’, ‘노인으로 존엄하게 살아갈 자기자리 찾기’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던 고령 발달장애인의 삶과 노후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이들의 성공적 노후를 지원하기 위한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In the contexts of a rapidly aging society and digital transformation, promoting older adults’ digital literacy and their physical, mental, and cognitive health has become a key concern in social welfa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cognitive fun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conomic activity. Data of 9,951 older adults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higher digital literacy was linked to lower depression and better cognitive function. Second,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cognitive function. Third, this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more pronounced among older adults not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and economic activity in promoting cognitive health and discussed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페이지 : 5-33
    * DOI : http://dx.doi.org/10.22836/kaswpr.2025.16.2.5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고령 발달장애인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본 부모와 종사자가 인식하는 발달장애인의 성공적 노화의 의미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세 이상의 고령발달장애인을 돌보는 부모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장애와 나이듦의 경계에서 고유한 노화의 지각’, ‘변화에 맞서 노화속도를 늦추는 자기관리’, ‘익숙함을 기반으로 유연하게 삶을 이끌어 가는 힘’, ‘불안한 내일을 덜어내는 지속 가능한 삶의 설계’, ‘노인으로 존엄하게 살아갈 자기자리 찾기’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던 고령 발달장애인의 삶과 노후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이들의 성공적 노후를 지원하기 위한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successful aging for elderl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perceived by parents and Service Provider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and service providers who care for elderl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50. Based on the thematic analysis of the results, five themes and 14 sub-themes were derived. The key themes included: “Perceiving unique aging at the boundary of disability and aging,” “Self-management to slow down the pace of aging in the face of changes,” “The power to lead a flexible life based on familiarity,” “Designing a sustainable life to ease the anxiety of tomorrow,” and “Finding one’s rightful place to age with dignity as an elderly person.”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to foster interest in elderl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se needs had been previously ignored, and to support them in their old age.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페이지 : 99-133
    * DOI : http://dx.doi.org/10.22836/kaswpr.2025.16.2.99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장기요양요원의 소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소득분위별로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기요양요원 처우 개선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분석에는 보건복지부가 조사하고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시스템에서 제공하는 2022년 장기요양실태조사 자료를활용하였으며, 연구방법론으로 분위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요양보호사는 모든 소득 분위에서 타 직종 대비 낮은 소득 수준을 보였으며, 방문요양·방문목욕·방문간호와 같은 재가급여 유형은 노인요양시설에 비해 특히 저소득 분위에서 불리한 소득 구조를 나타냈다. 또한 근무 지역별로는 농촌 지역이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 수준을 보이는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기요양요원 노동시장이 직종, 급여유형, 지역에 따라 구조적으로 이질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부 집단에불리한 소득 구조가 집중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요원 처우 개선 정책의 구체화 및 차등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향후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income determinants across different income quantiles of long-term care workers. With utilizing the 2022 Long-Term Care Survey data provided by the micro data information system(MDIS) of Statistics Korea, this study applied quantile regression models to identify income determinants by income quartile. The analysis results confirmed differences in most variables controlled for in the research model across income quantiles. The findings, derived while controlling for individuals' human capital, showed that the income advantage of care workers among long-term care personnel decreased as income quantiles increased. Regarding long-term care benefit types, home-visit care, home-visit bathing, and home-visit nursing were found to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income compared to care-giver, with this phenomenon being more pronounced in lower income quantiles. Additionally, work place in agricultural region were found to be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income than urban area. The main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t confirms that the income of long-term care workers is fragmented, highlighting the need for policy interventions to address these disparities. Second, by examining the income distribution among long-term care workers, the study evaluates the timeliness and alignment of current government policies and draws ou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페이지 : 5-47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에서는 초기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정적 양육 경험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 자료 중에서 1차(초4), 2차(초5), 3차(초6)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부정적 양육 경험, 공격성, 스마트폰 과의존은 각각 이후 시점의 부정적 양육 경험, 공격성,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부정적 양육 경험은 이후 시점의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공격성은 이후 시점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격성은 부정적 양육 경험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과의존의 저연령화의 추세에서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개입과 예방 시 다양한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스마트폰 과의존의 특성에 따라 초기 청소년들의 공격성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adolesc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experience and smartphone dependency. Data were collected from 2,607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T1 = Elementary School 4th grade, T2 = 5th grade, T3 = 6th grad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or negative parenting experience, aggress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later negative parenting experience, aggress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respectively. Second, prior negative parent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later aggression. Third, prior aggress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later smartphone dependency. Fourth, aggression showed a longitudinal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link between negative parenting experience and smartphone dependen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martphone dependency is trending toward younger ages, interventions and prevention efforts should consider early adolescent aggression as a key factor,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dependency is shaped by multiple interacting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55-78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아동·청소년의 놀이, 놀 권리, 놀이 여건에 대한 인식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 기반의 놀이 친화적인 환경 조성과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놀 권리 실현의 주요 당사자인 S시 거주 아동과 청소년, 부모의 의견을 청취하고자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수행하였다. 초등학생 5명, 중고등학생 6명, 부모 5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인터뷰 자료는 전사되어 반복적 비교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우선, 연구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놀이와 놀 권리의 의미, 놀이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놀이의 긍정적 기능으로 사회성, 행복감, 신체건강 향상, 스트레스 해소 등을 제시하였으며, 역기능은 학업 수행 방해와 또래 관계 문제 발생 등을 들었다. 놀 권리 실현이 어려운 배경으로는 바쁜 일과와 학업 부담을 호소하였으며, 지역사회 놀이 여건에 대한 인식에서는 연령대에 맞는 놀이 환경 취약, 지역사회 놀이 공간 부족, 놀이 환경에 대한 접근성 문제, 지역 간 격차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지역사회의 놀이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는데, 놀이 개념과 놀 권리에 대한 인식 개선 교육, 지역사회 수요에 따른 놀이 여건 개선 방안, 놀 권리 실현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비차별, 아동 최선의 이익, 생존과 발달, 아동 의견 존중 원칙 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play, play rights, and play environments among children, adolescents, and parents in a local community, and to explore support measures for establishing a play-friendly environment that guarantees children's play rights.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ere conducted with key stakeholders in the realization of play rights, including f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ix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five parents in City S.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meaning of play and play rights, as well as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play. Positive aspects included the promotion of social skills, a sense of happiness, physical health, and stress relief, while negative aspects involved hindrances to academic performance and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ships. Participants identified busy daily schedules and academic pressures as primary obstacles to realizing play rights. Regarding local play environments, issues such as insufficient age-appropriate play spaces, a lack of community play facilities, limited accessibility, and regional disparities were highligh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practical strategies for creating a play-friendly environment within the community. Finall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need for educational initiatives to enhance awareness of the concepts of play and play rights, improvement of local play conditions based on community needs, and the importance of prioritizing the best interests of children in the process of ensuring play rights.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 페이지 : 19-5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지역사회통합돌봄 정책의 실행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서울시의 ‘돌봄SOS센터 추진 기본계획’과 부산시의 ‘부산형 통합돌봄 추진 기본계획’ 을 사례로 하여 복지다층체계 분석틀을 적용한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중앙정부의 정책 기조와 지방정부의 정책 설계 및 실행 간의 상호작용 구조를 파악하고, 각 지역이 어떻게 자율성과 지역성을 발휘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광역기초지역사회로 이어지는 수직적 정책 체계를 중심으로 각 층위의 제도적·조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는 정부 주도 정책과는 별개로 독자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한 반면, 실행 과정에서는 행정기관 중심의 관료적 구조가 강하게 작동하고 있었으며, 부산시는 중앙정부의 기본 방향을 수용하면서도 민관협력 및 주민참여 중심의 실행 전략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각 층위 간 조응 방식과 실행 구조에서 상이한 특징이 나타나, 동일한 정책목표 하에서도 구조적 모순이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통합돌봄 정책의 이행 방식이 단일한 수직 구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층적인 제도 환경과 지역 맥락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성됨을 보여주며, 향후 정책 설계 시 다층적 연계 전략과 지역 맞춤형 실행 구조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임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mmunity care policies are locally implemented in South Korea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Seoul and Busan. Drawing on a multi-layered welfare governance framework, the research explores how different localities interpret, structure, and operationalize the national vision of community care within their respective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context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employs comparative case study analysis, focusing on the “Care SOS Center Implementation Plan” in Seoul and the “Busan-type Integrated Care Master Plan” in Busan. Both documents are analyzed across four levels of governance: national, metropolitan, municipal, and community. Each level’s roles, actors, and organizational configurations are evaluated to understand how care services are delivered and governed. Findings suggest a clear divergence in implementation logic. Seoul, although autonomous in initiating its own plan outside the national framework, remains institutionally centralized, with local administrations (especially community service centers) serving as primary operators. In contrast, Busan aligns more closely with central government guidelines yet places stronger emphasis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resident engagement. These contrasts reveal structural contradictions inherent in Korea’s community care policy namely, the tension between central control and local autonom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applying a multi-layered governance perspective to integrated care policy, highlighting the need for region-specific strategies that address not only formal institutional design but also the operational realities of care at the local level.초록 닫기
    * 발행처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페이지 : 209-244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 본 연구는 학대피해아동에 대한 포괄적 담론 고찰과 당사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물과 언론보도물을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토픽모델링을 실시하 여 주요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법적 체계 및 아동보호시스템’, ‘친권에 대한 인식과 분리조치’, ‘학대 후유증과 지원’의 세 가지 주제가, 언론보도물에서는 ‘학대 후유증과 지원’, ‘보호시스템(가정외 배치)’의 두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학술연구물에서는 도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보호시스템 진입 전’과 ‘진입 후 초기 경험’, ‘친권(부모)에 대한 인식과 관계’, ‘분리’, ‘학대의 후유증’, ‘지원의 경험’, ‘보호시스 템 내에서 삶’, ‘공적돌봄의 평가와 퇴소이후 연결성’으로 총 8개의 초점질문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토대 로 보호체계에서 아동기를 보낸 성인기 청년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분석을 통해 총 18개의 핵심 개념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학대피해아동의 전 생애적 맥락에서 보호체계 보호체 계의 경험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대피해아동 보호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당사자의 목소리에 근거한 보호체계 개선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discourse on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abuse and to examine their lived experiences in depth. To this end, academic studies and news repor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opic modeling based on text mining to extract key themes. As a result, three major topics―“legal systems and child protection structures,” “perceptions of parental authority and separation,” and “aftereffects of abuse and support”― were identified in academic research, while two themes―“aftereffects of abuse and support” and “child protection systems”―were found in media coverage. Based on the extracted themes, eight focus areas were constructed: pre-entry into the child protection system, early experiences after entry, perceptions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al authority, separation, aftereffects of abuse, experiences of support, life within the protection system, and evaluation of public care and post-exit continu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young adults who had spent their childhood within the public child protection system following separation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due to abuse. A total of 18 key concepts were derived through interview analysis, allowing for an examination of the experiences of children in protective care across their life course. The findings offer practice- and policy-level recommendations and seek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child protection system, grounded in the voices of the individuals directly affected.초록 닫기
    * 발행처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페이지 : 27-62
    * DOI :
    * UCI : 서지정보 닫기
    콘텐츠 담당자
    담당자 : 윤지현 / 연락처 : 02-2077-3924 / 이메일 : yunjh1222@ssnkorea.or.kr
    콘텐츠 만족도
TOP